목차

    2025학년도부터 기초·차상위 대학생을 대상으로 원거리 대학 진학 시 주거안정장학금이 월 최대 20만 원까지 지원됩니다. 이 장학금은 대학생들의 주거 관련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제도로, 교육부와 한국장학재단2025년 2월 4일부터 3월 18일까지 신청을 받습니다.

    국가장학금 2차 신청도 같은 기간 동안 접수되니, 주거안정장학금 신청과 함께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    주거안정장학금 지원 개요

    • 지원 대상: 원거리 통학이 어려운 기초·차상위 소득구간의 대학생
      • 원거리 통학 기준: 대학 소재지와 부모의 주소지가 다른 교통권에 있을 경우
    • 지원 금액: 월 최대 20만 원
    • 지원 항목:
      • 임차료(전세, 월세, 기숙사비, 고시원비 등)
      • 주거 유지·관리비(수도, 전기, 가스, 난방비 등)
      • 주택임차·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등 주거 관련 비용
    • 신청 기간: 2025년 2월 4일(화)부터 3월 18일(화)까지
    • 신청 방법: 한국장학재단 웹사이트(www.kosaf.go.kr)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신청
    • 문의: 한국장학재단 콜센터(1599-2000)

    지원 대상 기준

    주거안정장학금은 기초·차상위 소득구간의 학생 중 원거리로 통학하는 대학생에게 지원됩니다. 원거리 통학 여부는 대학과 부모님의 주소지가 다른 교통권에 있을 경우로 판단합니다.

    원거리 진학 인정 예시:

    • 지원: 대학 소재지가 대전이고 부모님의 주소는 서울인 경우
    • 지원하지 않음: 대학 소재지가 서울, 부모님의 주소가 경기도 성남시인 경우 (모두 수도권에 해당)

    주거안정장학금 신청 방법

    1. 한국장학재단 웹사이트(www.kosaf.go.kr)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신청
    2. 신청서 작성 및 제출: 필요한 서류를 준비해 온라인으로 제출
      • 필요한 서류: 가족관계증명서, 주민등록등본, 재학증명서
    3. 국가장학금 2차 신청도 같은 기간에 함께 접수

    주거안정장학금 지원 예시

    • 대학 소재지: 대전, 부모님 주소: 서울지원 가능
    • 대학 소재지: 서울, 부모님 주소: 경기도 성남시지원 불가

    지원 항목

    • 임차료: 주택, 기숙사, 고시원 등 거주를 목적으로 지불한 사용료
    • 주거 유지비: 수도, 전기, 가스, 난방비 등
    • 기타: 주택임차·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등

    신청 방법 및 기간

    • 신청기간: 2025년 2월 4일(화)부터 3월 18일(화)까지
    • 온라인 신청: 한국장학재단 웹사이트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신청

    자주 묻는 질문 (FAQ)

    Q1: 대학 소재지가 서울인데 부모님 주소는 경기도 성남시입니다. 지원이 되나요?

    A1: 지원되지 않습니다. 서울과 성남시는 모두 수도권에 해당하므로 원거리 진학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.

    Q2: 대학 소재지가 대전이고 부모님 주소가 서울입니다. 지원이 되나요?

    A2: 지원됩니다. 대전과 서울은 서로 다른 교통권에 해당하므로 원거리 진학으로 인정되어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    Q3: 대학 소재지가 창원이고 부모님 주소가 진주입니다. 지원되나요?

    A3: 지원되지 않습니다. 창원과 진주는 같은 교통권에 속하므로 원거리 진학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.

    주거안정장학금과 국가장학금 신청을 놓치지 않도록, 기한 내에 신청하시기 바랍니다!

    반응형
    그리드형(광고전용)

    + Recent posts